세계에서 가장 많은 유학생을 보내는 나라 한국
The country that sends the most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world is Korea
한국인 유학생 21만명 / 1년에 해외로 나가는 한국인 1000만명
There are 210,000 Korean internatonal students/ 10,000,000 Koreans go abroad per year
한국인이 세계인들에게 가장 많이 듣는 네 가지의 질문
The following questions are often asked by world citizens to Koreans
당신은 중국인 입니까? 아니요
Are you Chinese? No.
당신은 일본인 입니까? 아니요, 한국인입니다.
Are you Japanese? No, I am Korean.
혹시 북한에서 왔습니까? 아니요, 대한민국에서 왔습니다.
Did you happen to come from North Korea? No, I’m from South Korea.
대한민국은 어디에 있나요?
Where is South Korea?
중국과 일본사이에 있습니다.
It is located between China and Japan.
세계인들이 대한민국이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는 것이 안타까웠습니다.
It is unfortunate that many people worldwide do not know where South Korea is.
일본과 중국 옆에 있다고 말할 수 밖에 없는 현실에 마음이 아팠습니다.
The fact that we have to explain Korea is located in between China and Japan breaks my heart.
대한민국 세계인구의 1% / 세계면적의 0.07%
Korean people make up 1% of the world population/ 0.07% of the world’s land
겨자씨와 같이 작은 나라
Korea is a small country like a mustard seed
세계인들이 한국을 모르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릅니다.
It may be natural that world citizens do not know about Koe
세계 정치인들은 이야기 합니다.
The world’s politicians speak.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인 한국이 아시아의 피스메이커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South Korea, one of few divided countries in the world, is unlikely to become Asia’s peacemaker.
하나 된 유럽과 미주에 비해서 아시아는 분열과 갈등의 길을 걷고 있다.
Compared to the unified Europe and Americas, Asia faces a road full of conflicts and divisions.
세계 경제전문가들은 이야기합니다.
The world’s economists speak.
한국은 기술력을 가진 일본과 노동력을 가진 중국 사이에서 심각한 경제위기를 맞게 될 것이다.
Korea competes with the skills /craftmenship of Japan and the labor force of China and faces an economic crisis.
급격한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는 한국을 혼란스럽게 할 것이다.
South Korea will be confused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하지만 대한민국 청년들의 생각은 다릅니다.
However, young Koreans think differently.
우리는 아시아와 태평양을 연결하는 중심지 한반도에 살고 있습니다.
We live on the central peninsula connecting Asia and the Pacific
우리는 40억 아시아인의 마음을 뒤흔든 한류문화의 중심입니다.
We move the hearts of 4,000,000,000 Asians with out “Hallyu” culture.
우리는 단 50년만에 산업화와 민주주의를 동시에 일구어낸 성공신화의 주인공입니다.
We are the main characters who made history by achieving both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cy within the last 50 years.
우리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봉사활동을 많이 하는 아시아의 일꾼입니다.
We are the third in the world for sending community service volunteers and represent the Asian workforce.
두 갈래의 갈림길 / 대한민국을 향한 상반된 평가
Two roads diverged at fork/ Contrary assessments on Korea
우리 한국의 청년들은 우리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한다고 믿습니다.
We, the young generation of Korea, believe that we can create the future.
우리 한국의 청년들은 아시아를 향해 큰 꿈을 꾸고 있습니다
We, the young generation of Korea, are heading toward the advancement of Asia with a huge dream.
하루 2000원으로 생활하고 있는 18억명의 사람들을 위해
For over 180 million people who live every day with only 2000₩ or about $2.
우리는 아시아인들에게 희망을 말하고자 합니다!
We want to be the hope of Asians!
2010년 1월 1일 OECD 개발원조위원회에 가입되어
On January 1st, 2010, we joined the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세계 최초로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세계역사에 기록되었다는 사실을
The fact that we became the first country in the world to change from receiving to giving aid
한국인은 40억 아시아인과 가장 진실된 친구가 될 것입니다
shows that Koreans along with 400 million Asians will became trustworthy friends.
대한민국은 동양과 서양을 연결하는 새로운 문화창조자로 중심에 서게 될 것입니다!
Korea will become the center of exchange between Western and Traditional culture!
세상에서 가장 작은 씨앗 ‘겨자씨’
The world’s smallest seed called “겨자씨” (or mustard seed)
이 작은 씨앗이 싹을 틔우고 키가 자라면
Once this seedling spreads it’s roots and begins to grow
숲에서 가장 큰 나무가 되어 새들이 그 가지에 깃들이 듯이
It will become the largest tee in the forest where birds can rest on its branches
대한민국이 커다란 세계의 숲을 이루게 될 것입니다.
Korea will become the world’s finest forest.
언젠가 세계인들이 동양인들에게 질문할 것입니다.
There will come a day with people of the world will ask Asians this
당신은 한국인입니까? 아니요
Are you Korean? No.
하지만 저는 아시아에서 가장 사랑받는 나라인 대한민국의 이웃나라에 살고 있습니다.
However, I live near the country Korea, which is the most lovedAsian country and also it’s jewel.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는 이 꿈을 품고 아시아를 변화시킬 대한민국 청년들을 교육시키고 있습니다.
The VANK, is a place where dreams are accomplished by educating young Koreans to change Asia.
당신의 꿈이 곧 대한민국의 미래입니다.
0 Comments
You can be the first one to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