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여러분은 세계문화유산하면 어떤것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중국의 만리장성? 이탈리아 피사의 사탑? 이집트의 피라미드?
 
그러나 여러분은 이 나라에 대해 들어본 적 있나요?
세계국토면적 순위 108위의 작은 나라
하지만 이 나라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순위 151개국 중 21위
10가지의 세계유산을 보유
 
오 천년의 역사 속에서 독자적인 문화의 꽃을 피운  반도의 나라
이 세계적인 문화유산을 보유한 나라 대한민국
그러나 전세계 해외여행자 중 단 1%만이 한국을 방문
하지만 우리가 먼저 세계인의 마음의 문을 두드린다면
그들의 발걸음은 곧 한반도로 향하게 될 것입니다
아직 세계인에게 알려지지 않은 한국의 문화유산이야기
 

 
<고인돌의 왕국, 대한민국>
200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선사시대의 사회문화와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세계문화유산
고창·화순·강화 지역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이 대규모로 밀집
고인돌 축조의 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고인돌의 산 교육장
전세계 고인돌의 70%가 모여있는 세계문화유산 고인돌의 나라 대한민국
 

 
<종교와 과학 그리고 예술의 절묘한 결합, 석굴암>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첨단과학과 종교의 절묘한 결합, 신라불교예술의 정점
동양에는 이와 비교할 것이 없다 “돌로 비단을 짜듯 감실을 조성했다”
거친 화강암으로 부드럽고 아름다운 부처님의 모습을 표현
신비로움과 경이로움이 풍겨나는 불상의 예술적인 자태
그리고 그 속에 담겨있는 신라인들의 깊은 불심 신라시대 최대의 걸작, 석굴암
 

<한국적인 건축기술과 신라문화의 높은 품격이 어우러진 사찰, 불국사>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돌을 새기고 나무를 맞물린 기교는
동쪽의 여러 절로서 이보다 나은 것이 없다”
- 삼국유사 -
 
불국사 곳곳에 흐르고 있는 고귀한 한국 불교 역사의 흔적
장엄하면서도 정교한 사찰, 불국사
그리고 불국사를 대표하는 두 개의 탑
정확한 비례와 균형 간결하고 장중한 멋, 석가탑
정교하고 세밀함이 돋보이는 뛰어난 예술작품, 다보탑
세계에서 그 유례를 찾기 힘든 독특한 건축미가 돋보이는 세계문화유산 불국사
 

<인쇄문화의 보물창고, 장경각>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2007년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등록된 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대장경, 팔만대장경
이를 1000년 동안 원형 그대로 온전히 유지시켜온 보존과학의 소산물 장경각
원활한 통풍, 철저한 방습, 과학적인 경판 진열
현대과학이 따라잡을 수 없는 선조들의 지혜가 지켜온
1000년의 시간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한국건축의 절정, 장경각
 

 
<왕과 백성, 자연과 사람이 어울리는 궁궐, 창덕궁>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차경’ 경치를 빌려오다
멀리 바라보이는 자연의 풍경을 경관의 일부로 이용하는 기법
자연을 인위적으로 가공하지 않는 선조들의 건축미학
뒷산을 배경으로 한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
왕과 백성, 그 소통의 간격을 줄이고자 백성의 주거 공간과 가까이 위치
자연과 사람의 어울림, 조화와 균형을 중시했던 가장 한국적인 궁궐, 창덕궁
 
<동아시아 성곽의 백미, 수원화성>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동서양을 망라하여 고도로 발달된 과학적 특징을 고루 갖춘 근대 초기 군사 건축물의 뛰어난 모범
-세계유산 위원회 집행 이사회-
 
중국, 일본 등지에서 찾아 볼 수 없는 평산성의 형태로
군사적 방어기능과 상업적 기능을 함께 보유하고 있으며,
그 시설이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구조로 되어 있는 동양 성곽의 백미
- 유네스코 세계유산 위원회 공식 평가-
 
민본사상과 과학기술이 결합한 동양최고의 성곽 수원화성
 
<500년 왕조의 역사가 묻혀 있는 신의 정원, 조선왕릉 40기>
2009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500년 조선왕조의 역사
그 역사 속에 등장했던 왕과 왕비의 무덤, 유교 사상과 풍수, 도교, 전통사상
한국인의 세계관이 압축된 장묘문화 공간
자연경관과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어 독특한 조경 양식을 보여주는 신의 정원
당시 조선의 시대적 상황의 변화가 공간구성과 조형물에 그대로 반영
 
통합적인 보존과 관리로 오늘날까지 고스란히 전해져 내려와
500년 왕조의 역사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왕들의 정원, 조선왕릉

<죽은 자를 위한 살아있는 건축, 종묘>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500년 조선의 왕들의 위패를 모시는 곳,
죽은 이들을 공간의 주체로 삼은 상징적인 공간
500년 왕조의 신위를 그대로 모시고 그 의례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세계문화유산, 종묘
측면 4칸, 정면 25칸의 긴 구조, 목조 건물로는 세계적인 규모
장엄하고 절제된 동양 건축정신과 종교적 건축이 가져야 할 가치를 겸비
동양의 파르테논 신전, 종묘
 
<도시 전체가 하나의 박물관, 경주역사지구>
200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
삼국의 통일, 그리고 세 나라의 문화를 통합한 1000년의 왕조 신라
도시 전체가 5개의 지역으로 나뉘어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
1979년 유네스코 세계 10대 유적지로 선정된 경주시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적 도시 총서’에 소개
세계인의 찬사가 끊이지 않는 신라의 최고의 유물
신라 금관, 천년의 역사, 눈부신 과학과 문화, 빼어난 예술
이 모든 것이 결합되어 도시 전체가 지붕 없는 박물관 같은 도시 경주

<살아있는 세계문화유산, 양동·하회마을>
201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1999년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의 극찬
“가장 한국적인 모습을 간직한 훌륭한 곳”
조선시대 양반문화와 선비문화가 여전히 숨쉬고 있는 곳
박제화된 공간이 아닌 전통가옥과 촌락구조를 실제 생활에서 유지
세대를 거듭해 600년동안 마을 주민들에게 보존되어 온 선조들의 숨결
유물이 아닌 살아있는 세계문화유산, 양동·하회마을

전세계 면적 약 0.12%의 작은 나라 그러나 이 위대한 세계문화유산을 간직한 나라
대한민국
그리고 세계 여행객의 마음을 설레게 할 대한민국 세계문화유산 여행기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는 세계인들과 함께 이 여행기를 써나갈 주인공을 찾고 있습니다.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한국청년들의 자부심은 60억 세계인들에게 전달되어 이제 곧 대한민국의 문화유산을 보기 위해 수많은 세계인들이 한국을 찾아올 것입니다.
 
한반도의 위대한 문화유산을 세계인에게 알려주세요
당신이 곧 미래 관광대국 대한민국 홍보대사입니다

 

0 Comments

You can be the first one to leave a comment.

Leave a Comment

 
 




 
 

반크 꿈 사진